문의처


ㆍeGISEC : egisec@seconexpo.com
ㆍSECON : secon@seconexpo.com

ㆍ국외 : global@seconexpo.com

보도자료

전자정부지원사업의 미래와 새로운 길을 찾다 2017.03.28
행자부, 2017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총 32개 과제에 1,263억 원 투입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지능정보사회에서 전자정부가 갖는 의미와 함께 전자정부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28일 전자정부지원사업을 수행했던 주요 기업 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2016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전자정부지원사업은 범정부 정보시스템 공동활용 기반 구축, 다부처 정보시스템 연계 등을 추진하는 대표 정보화사업으로 행정자치부 주도로 수행되고 있다. 2016년에는 30개 과제에 1,237억 원을 투입했고, 총 164개 업체가 참여해 ‘생활 맞춤서비스 제공’, ‘안전한 사회구현’ 등 국정과제 및 전자정부 핵심사업을 완수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우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지능정보사회에서 전자정부가 갖는 의미와 함께 지원사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지원사업이 그 동안 온라인 민원발급 확대, 행정정보 공동이용 등 국민 편의성과 행정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에 더해 앞으로 전자정부의 미래 모습인 지능형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지원사업이 클라우드, IoT 등 신기술 공통인프라 구축과 정보보호에 앞장섬으로써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의 지능정보기술 활용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간담회에서는 IT 중소기업이 공공정보화사업에 참여하면서 겪는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듣고 개선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 짧은 기간에 수행되는 대규모 정보화사업의 성과와 품질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사업 계획단계 전자정부사업관리자(PMO) 도입, 품질성능 평가시험(BMT) 비용 지원 확대, 품질관리전담반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덕수 행정자치부 스마트서비스과장은 “민간과 소통하는 자리를 통해 급변하는 IT 기술 변화에 맞추어 정보화사업의 성과·품질을 제고하면서 중소 SW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자치부는 2017년 전자정부지원사업으로 총 32개 과제에 1,263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보안시스템 구축 ISP’ 등 7개 과제를 시작으로 상반기 발주를 추진 중이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eGISEC은 정보보호 및 정보화 솔루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료 사전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