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처


ㆍeGISEC : egisec@seconexpo.com
ㆍSECON : secon@seconexpo.com

ㆍ국외 : global@seconexpo.com

보도자료

전자정부에 인공지능 탑재... ‘지능형 정부’ 추진 2017.08.09
행안부, ‘차세대 전자정부’ 정책에 4차 산업혁명 기술 접목

[보안뉴스 김성미 기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공공 행정을 혁신하는 차세대 전자정부 정책이 나왔다.

[사진=iclickart]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4차 산업혁명 대응 전자정부 협의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지능형 정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행안부는 개인이 자주 이용하는 행정 서비스 이력을 추적·관리해 관련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개인비서 서비스를 도입한다.

국민이 행정절차나 수혜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대로 몰라 어려움을 겪을 경우 최적의 해결방법을 안내하고 상담하는 로봇 컨설턴트가 서비스 예다.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 등 일선 행정창구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민원서비스용 인간형 로봇을 배치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인공지능이 행정 업무 프로세스를 스스로 진단·개선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정책수단과 시기를 도출해 업무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과부하가 자주 걸리거나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무 과정의 문제 해결을 비롯해 유사한 정부서류를 일원화하는 데에도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행정처리 관련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공직 비리나 행정오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방안도 추진해가기로 했다. 위임 전결규정을 위반한 결재나 규정에 위배된 인허가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것이다.

스마트한 민원 처리 위한 10대 추진 과제 선정
이와 함께 행안부는 민원처리 중심의 정보화 정책을 넘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지역민과 밀접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 네이션(Smart-Nation) 10대 추진 과제’도 발표했다.

스마트 네이션이란 민원처리 중심의 기존 지역정보화를 벗어나 인공지능, IoT 등 첨단 ICT를 활용하여 행정·안전·복지·교통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과 스마트 네이션 서비스 및 적용 기술 비교[자료=행정안전부]


주요 서비스로 주민이 가구나 소파 등 대형 폐기물을 버릴 때 스마트폰 촬영 한 번으로 폐기물 종류나 수거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요금결제까지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게 대형 생활폐기물 처리 서비스가 추진된다. 또 길거리 쓰레기통의 수거 시점을 미리 알려줘 깨끗한 거리와 공원을 조성할 수 있는 서비스도 마련된다.

모바일 앱 하나만 실행하면 CCTV 중점관제를 통해 여성이나 어린이의 안심 귀가를 돕는 스마트 안심 귀가 서비스도 전국적으로 구현하기로 했다.

심보균 행안부 차관은 이날 각 부처와 지자체 정보화책임관, 정보화담당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협의회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우리나라 전자정부를 한 차원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자정부 의제를 설정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eGISEC은 정보보호 및 정보화 솔루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료 사전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