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키르기스공화국 전자정부 혁신 사업 협력 개시 | 2017.09.07 |
대한민국 전자정부, 중앙아시아 키르기스공화국에 본격 전파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세계 각국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대한민국 전자정부가 중앙아시아 키르기스공화국에 본격 전파된다. 행정안전부는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과 키르기스공화국 정보기술통신위원회 밀란 오물라리에브 부위원장(차관급)이 전자정부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최근에 국가적인 디지털 개혁 프로젝트인 타자쿰(Taza Koom)을 발표하는(2017년 4월) 등 정부 각 분야를 전자정부 서비스로 전환하고 있는 키르기스공화국 측의 협력 요청으로 성사됐다. 키르기스공화국은 최근 타자쿰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전자정부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4월 표준 전자여권을 도입했고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DB)화와 전자서비스 포털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자정부 시스템을 행정에 본격 도입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키르기스 측과 전자정부 인력 교류, 모범 사례 공유, 역량 개발 사업을 펼치는 등 키르기스의 전자정부 구축·운영 관련 협력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번 키르기스공화국과 전자정부 업무협약은 중앙아시아에서는 우즈베키스탄(2012.9), 카자흐스탄(2016.11)에 이어 세 번째다. 특히, 우즈베키스탄과는 업무협약 이후 전자정부협력센터를 설립해 2013~2015년 공동으로 운영했고 1억4000만달러 이상의 전자정부 사업을 수출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뒀다. 이번 키르기스공화국과의 업무협약은 이 같은 전자정부 협력 우수 사례를 중앙아시아 주변국으로 확대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심보균 행정안전부차관은 “한국은 국가 정보화를 통해 정부의 효율성을 높히고 대국민 서비스 혁신을 이뤄냈다”며, “우리 전자정부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하면서 대한민국 전자정부 시스템의 해외 협력과 진출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