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전자정부, 전문인력 채용으로 보안성 높인다 | 2017.12.12 |
행정안전부, 2018년 전자정부의 핵심 방향 선정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2018년 전자정부의 핵심 방향으로 ‘지능형 인재 양성’과 ‘공공 분야 사이버보안 조직 인력 확충’,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정보 자원 정책’, ‘전자정부 통합적 성과 관리’가 선정됐다. 전자정부추진위원회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17년 제2차 전자정부추진위원회’를 열고, 올해 전자정부의 성과를 돌아보고 2018년 전자정부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눴다. 전자정부추진위원회는 전자정부를 총괄하는 민관 협력 기구로, 전자정부 관련 주요 정책과 사업을 검토·조정하기 위해 구성(2016년 4월)됐다. 4차 산업혁명에 앞장서기 위해서 공무원의 디지털, 자료(데이터) 및 기술 역량 강화가 중요해짐에 따라 마련된 ‘지능형 인재 양성 및 관리 방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혁신 성장의 신자본 자료인 데이터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데이터 직류를 신설해 방대한 자료 분석을 수행할 전문 인력을 충원하고 기술 전문성이 필요한 직위에 민간 경력자의 채용 비율을 확대하는 등 공직 내 전문 인력을 강화해 나간다.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확산으로 사이버보안에 새로운 위험 요인이 등장함에 따라 ‘공공 분야 사이버보안 조직 인력 확충 방안’도 마련됐다. 기관별로 사이버보안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보안관제·공격분석 등 현장 중심의 민간 전문가 채용에 중점을 둬 공공 분야 일자리 창출과 연계해 사이버보안 인력도 단계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 부문에서의 신기술 도입을 위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신기술 적용을 위한 시험대(테스트베드)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정보 기술과 정보 자원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중장기 정보 자원 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한편, 전자정부의 투자 효율화·성과 극대화 등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 마련을 위해 ‘전자정부 통합 성과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시스템 활용도 위주의 성과 관리를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성과 관리로 확대하고, 성과 분석·진단 결과는 백서로 발간해 재정 투자의 전략적 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 등과 공유할 계획이다.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와 산업 전반에 융합되는 가운데, 국민들은 국가의 주인으로서 직접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열린정부를 요구하고 있다”며, “국민의 기대치에 걸맞은 지능형 인재를 양성하고, 공공 부문이 지능정보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활성화하는 등 전자정부가 혁신 성장을 이끌어 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