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처


ㆍeGISEC : egisec@seconexpo.com
ㆍSECON : secon@seconexpo.com

ㆍ국외 : global@seconexpo.com

보도자료

행안부, 2019 전자정부 성과관리 기관설명회 개최 2019.02.20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공공 정보화사업 추진절차별 성과관리의 본격 시행에 앞서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세종컨벤션센터와 대전청사에서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정보화담당자 600여명을 대상으로 ‘2019년도 전자정부 성과관리계획 기관설명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를 통해 향후 공공 정보화사업 계획 수립·발주·운영관리 등 추진 절차 전(全) 단계에 걸친 성과관리 제도를 본격 시행해, 예산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범정부 정보화 예산의 투자효율성을 높일 전망이다.

행안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공공 정보화사업에 성과관리 제도를 도입해 추진 체계와 제도를 정비하고 정보화사업 유사, 중복 제거를 통한 예산 절감 등 소기의 성과를 도출한 바 있다.

그간 우리 전자정부는 성과관리 제도의 시행을 통해 효율적 관리 기반을 마련했으나 공공 부문의 정보화사업에 매년 약 3조5,0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특히 전자정부 시스템의 노후화 등으로 운영·유지보수비가 정보화 예산의 절반(47%)을 차지하고 있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성과관리 추진을 통한 안정적인 제도 정착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행안부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올해 성과관리계획은 전자정부 성과관리 제도 조기 정착을 위해 각 기관의 애로 사항을 개선하고 성과 자문 상담(컨설팅)을 확대하는 한편, 성과관리 결과에 대한 이행 실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사업계획단계에서 사업이 구체화되지 않아 성과계획(성과목표, 지표 등)을 확정하기 어려운 현장의 상황을 고려해 사업발주단계에서 성과계획을 확정해 관리하도록 개선한다.

또한 정보화사업 계획·예산 편성단계에서 사전 협의가 추진되도록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시행하고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 폐기, 통·폐합 등 정비 대상 시스템에 대한 후속 조치 이행 점검을 통해 추적관리를 강화하고 미흡기관은 현장 실태 점검도 병행한다.

아울러 각 기관의 성과관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전자정부 전체를 대상으로 서비스 영역을 지정하고 주요 정보화사업에 대해서는 행안부가 직접 성과관리를 자문 상담(컨설팅)하는 등 특별 점검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장혁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지난해는 성과관리 제도 시행 원년으로 효율적 관리 기반은 마련됐으며, 올해부터는 성과관리 제도의 조기 정착을 통해 실효성 있는 성과가 도출되고 이를 통해 정보화 사업의 지출구조를 효율화해 새로운 서비스에 투자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eGISEC은 정보보호 및 정보화 솔루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료 사전등록